taeridad19 님의 블로그 입니다.

  • 2025. 4. 23.

    by. taeridad19

    목차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설계 원칙과 도전 과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설계 원칙과 도전 과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는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은 독립적 서비스로 분리하여 개발, 배포,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설계 방식이다. 각 마이크로서비스는 특정 기능을 담당하며, 다른 서비스와는 API(주로 REST 또는 gRPC)를 통해 통신한다. 이 방식은 기존의 모놀리식 아키텍처(monolithic architecture)의 단점을 극복하고, 민첩하고 확장 가능한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마이크로서비스는 Netflix, Amazon, Uber와 같은 글로벌 IT 기업들이 대규모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채택한 아키텍처로, 최근에는 스타트업에서 대기업까지 다양한 조직에서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서비스 설계의 핵심 원칙

      1.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각 마이크로서비스는 하나의 비즈니스 기능만을 책임져야 한다. 이를 통해 유지보수가 쉬워지고, 서비스 변경 시 다른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 결제 서비스, 사용자 인증 서비스, 상품 정보 서비스는 각각 별도로 존재하며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2. 독립적인 배포와 스케일링

      마이크로서비스는 독립적으로 빌드, 테스트, 배포가 가능해야 하며, 부하에 따라 개별적으로 확장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트래픽이 많은 주문 서비스만 별도로 확장하고 나머지 서비스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3. 데이터베이스 분리

      각 서비스는 자체 데이터 저장소를 가져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게 되면 서비스 간 결합도가 높아지고 마이크로서비스의 장점이 줄어든다.

      각 서비스는 자신만의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다른 서비스와의 데이터 통신은 API 또는 메시지 큐를 통해 수행해야 한다.

      4. 경량 통신

      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은 HTTP/REST, gRPC, 메시지 큐(RabbitMQ, Kafka 등)를 사용하여 경량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무거운 프로토콜이나 RPC는 피하는 것이 좋다.

      5. 장애 격리(Fault Isolation)

      하나의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회로 차단기 패턴(Circuit Breaker), 재시도 정책, 백오프(backoff) 등이 필요하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장점

      ✅ 유연한 기술 스택 선택

      각 마이크로서비스는 독립적으로 개발되므로 팀은 자신들에게 적합한 언어나 프레임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엔드 팀은 Node.js, 백엔드 팀은 Java 또는 Go를 선택할 수 있다.

      ✅ 빠른 배포 및 변경 대응

      변경이 필요한 서비스만 배포하면 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빠른 배포가 가능하다. 이는 CI/CD와 함께 적용 시 개발 사이클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 확장성 향상

      필요한 서비스만 선택적으로 수평 확장이 가능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고부하 서비스만 별도로 확장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마이크로서비스의 도전 과제와 극복 방안

      1. 서비스 간 복잡한 통신

      마이크로서비스가 많아질수록 서비스 간 통신 구조가 복잡해진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지연, 요청 실패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해결 방안:

      • 서비스 메시(Service Mesh, 예: Istio, Linkerd)를 통해 트래픽 제어
      • API Gateway를 통한 트래픽 집약 및 보안 관리

      2. 분산 트랜잭션 처리의 어려움

      서비스마다 DB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처리하기 어렵다. 이는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하는 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해결 방안:

      • 이벤트 소싱(Event Sourcing) 및 사가 패턴(Saga Pattern) 활용
      • eventual consistency(최종 일관성) 모델 적용

      3. 배포 자동화와 모니터링 필요성

      서비스 수가 많아질수록 배포와 모니터링이 복잡해진다. 수작업 배포는 비효율적이며 장애 대응 시간도 길어진다.

      해결 방안:

      • Kubernetes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 활용
      • Prometheus, Grafana, ELK 스택으로 모니터링 및 로그 수집 자동화

      4. 보안 이슈 증가

      각 서비스마다 API가 존재하며 외부 접근이 가능해 보안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 인증/인가를 분산적으로 적용해야 하므로 관리가 어렵다.

      해결 방안:

      • 서비스 간 인증을 위한 JWT 기반 인증 또는 mTLS 적용
      • API Gateway에서 인증/인가를 통합 관리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현 시 고려사항

      ✅ 도입 시기 판단

      초기 단계의 프로젝트에는 오히려 마이크로서비스가 복잡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정 규모 이상의 프로젝트에서 모놀리식 구조의 한계를 느낄 때 전환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조직 구조와의 정렬

      마이크로서비스는 개발팀 간의 독립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팀 구조, 권한, 배포 책임이 잘 분산되어 있어야 진정한 효과를 볼 수 있다.

      ✅ DevOps 문화의 확립

      CI/CD, 자동화 테스트, 인프라 자동화가 선행되어야 마이크로서비스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개발팀이 운영과 협업할 수 있는 DevOps 문화가 필수다.


      결론: 마이크로서비스는 기술이 아닌 전략

      마이크로서비스는 단순한 기술적 선택이 아니라, 조직과 프로세스 전반의 혁신이 필요한 전략적 결정이다. 성공적인 마이크로서비스 구현을 위해서는 아키텍처 설계, 개발 문화, 자동화, 보안, 모니터링 등 여러 요소가 긴밀하게 통합되어야 한다.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 마이크로서비스로의 전환은 단순한 코드 리팩토링이 아니라 조직의 사고 방식 자체를 바꾸는 과정이다. 따라서 충분한 검토와 시범 프로젝트를 거쳐 점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