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테스트 주도 개발(TDD)의 원칙과 실습 예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이 점점 복잡해지면서 코드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성이 중요해졌습니다. 이 가운데 테스트 주도 개발(Test-Driven Development, TDD) 은 높은 품질의 코드를 작성하는 대표적인 방법론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TDD의 개념, 핵심 원칙, 실제 실습 예제까지 폭넓게 다루며 데스크톱 및 모바일 사용자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TDD란 무엇인가?
테스트 주도 개발(TDD) 은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먼저 실패할 수 있는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그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최소한의 기능 코드를 구현한 뒤, 이를 점진적으로 리팩토링하면서 개발을 완성하는 방법론입니다.
Kent Beck이 XP(eXtreme Programming)의 일부로 소개했으며,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유연성,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테스트 주도 개발의 핵심 사이클: RED → GREEN → REFACTOR
TDD는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구성됩니다.
1. RED – 실패하는 테스트 작성
가장 먼저, 현재 존재하지 않는 기능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합니다. 이 테스트는 당연히 실패하며, 기능 요구 사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2. GREEN – 테스트를 통과하는 최소 코드 작성
그다음 테스트를 통과시키기 위해 최소한의 코드를 구현합니다. 이때는 코드의 품질보다는 기능 충족에 집중합니다.
3. 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기능이 정상 동작하면, 테스트가 깨지지 않도록 하면서 코드를 정리하고 개선합니다. 리팩토링 과정에서 중복 제거, 가독성 향상, 성능 개선 등을 시도합니다.
TDD의 장점
✅ 유지보수성이 뛰어남
TDD는 테스트 코드가 곧 문서 역할을 하므로, 협업자나 후속 개발자가 코드를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 빠른 버그 감지
개발 초기부터 테스트가 존재하므로 버그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 리팩토링 안정성 보장
테스트가 안전망 역할을 하여, 리팩토링 시에도 기능이 깨질 위험이 낮습니다.
✅ 모듈화된 설계
작고 독립적인 단위로 테스트하므로 자연스럽게 코드가 모듈화되어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테스트 주도 개발 실습 예제 (Python + unittest)
💡 시나리오: 간단한 계산기 클래스 만들기
# test_calculator.py import unittest from calculator import Calculator class TestCalculator(unittest.TestCase): def test_add(self): calc = Calculator() self.assertEqual(calc.add(2, 3), 5) def test_subtract(self): calc = Calculator() self.assertEqual(calc.subtract(10, 4), 6)
1단계: 테스트 실행 결과 (RED)
- 실행하면 ModuleNotFoundError 혹은 AttributeError 발생 → 실패
2단계: 최소한의 코드 작성
# calculator.py class Calculator: def add(self, a, b): return a + b def subtract(self, a, b): return a - b
- 테스트 실행 결과: 통과 (GREEN)
3단계: 리팩토링
- 코드가 단순해 리팩토링은 생략 가능
- 추가적인 메서드(곱셈, 나눗셈 등)를 테스트 주도 방식으로 확장 가능
TDD 도입 시 고려사항
📌 테스트 커버리지에만 집중하지 말 것
커버리지가 높다고 해서 품질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실질적인 검증 로직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과도한 테스트 작성은 개발 속도를 저해할 수 있음
TDD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도 하지만, 불필요한 테스트는 오히려 개발 속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핵심 로직 중심으로 TDD 적용을 추천합니다.
📌 협업 체계 정비
TDD를 조직적으로 도입하려면, 팀 전체의 코딩 컨벤션, 테스트 작성 기준, 리뷰 시스템 등이 정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모바일·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개발 습관
TDD는 반응형 웹 개발이나 모바일 앱 개발에서도 매우 유용합니다. 모바일 환경은 디바이스 종류와 운영 체제의 다양성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TDD를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데스크톱 웹: 브라우저 호환성 테스트
- 모바일 앱: 화면 크기별 테스트, OS 버전별 로직 확인
- 공통: API 호출 결과에 대한 테스트, 유효성 검사 로직 점검
마무리: TDD는 습관이자 철학이다
테스트 주도 개발은 단순한 테스트 방법을 넘어 개발자의 사고방식 자체를 바꾸는 도구입니다. 처음에는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품질 높은 코드, 빠른 디버깅, 협업의 효율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TDD 도입을 위해서는 팀의 협력, 적절한 도구 선택, 테스트 작성 원칙 준수가 필수입니다. 꾸준한 실천을 통해 TDD를 개발 문화의 일부로 만들어 보세요.
'기술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SQL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와 선택 기준 (1) 2025.04.25 코드 품질 향상을 위한 정적 분석 도구 활용법 (1) 2025.04.25 CI/CD 파이프라인 구축을 위한 도구 비교 (0) 2025.04.24 API 게이트웨이의 역할과 구현 방법 (0) 2025.04.23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설계 원칙과 도전 과제 (2) 2025.04.23